AWS RDS 인스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AWS RDS 란 AWS 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RDS 인스턴스를 만들기 때 설정할 수 있는게 있습니다.
Parameter Group, Option Group, Subnet Group 인데요 그중 Subnet Group 은 필수입니다.
저는 Subnet Group 만 먼저 만들고 RDS 인스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기존의 서브넷을 선택해줍니다
서브넷 구조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합니다.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RDS 인스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헷갈리는 부분만 글쓰겠습니다.
퍼블릭 액세스에서 예 아니오 중 어떤걸 선택해야 할까요
지금 만드는 RDS 인스턴스는 사용하는 EC2 와 같은 VPC 내부에 있으니 아니요로 해도 되지 않을까요?
문득 스치는 생각이
XSHELL 은 연결만 한거지 제가 만든 EC2와 같은 VPC 가 아닐거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 전 글에서도 LOCALHOST 로 연결된 DB가 제컴퓨터에 있는 MYSQL 로 연결이 되고? (뭔말인지 이해 못하실거에요)
SSH 연결을 사용해 XSHELL 로 인스턴스를 조작했던거니까 같은 VPC 가 아니니까 예로 하겠습니다.
(진짜 그냥 생각 대충하고 쓰는글이에요 아마 틀릴겁니다)
일단은 만들었습니다.
보안그룹 인바운드 모든 트래픽 허용 했으니 연결엔 상관이 없을겁니다.
한번 XSHELL 에서 연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데 XSHELL 에서 SSH 연결이 갑자기 안되네요;;
개념을 공부해야겠습니다;;
만들었던 RDS 인스턴스와 서브넷그룹을 삭제했는데도 SSH 연결이 안됩니다.
왜이럴까요;;
30분정도 스트레스 받다가 필살기로 껐다 켰습니다. 역시 해결됩니다.
아나
왜 안됐을까 고민할 인내심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넘어갑니다.
다시 RDS 만들어 줍시다.
XSHELL 에서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명령어로 MYSQL 을 설치해줍니다.
RDS 와 연결이 잘 되었습니다.
이제 블로그의 리액트 파일을 건드려서 RDS 에서 데이터를 CRUD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작동 됩니다.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는 안꺼지고 계속 켜져있게 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블로그 만들기 - 웹 에디터,Quill (0) | 2021.07.29 |
---|---|
(9) 블로그 만들기 - NGINX (0) | 2021.07.26 |
(7) 블로그 만들기 - AWS EC2,XSHELL (0) | 2021.07.26 |
(6) 블로그 만들기 -AWS EC2, XSHELL (0) | 2021.07.25 |
(5) 블로그 만들기 - AWS EC2 (0) | 2021.07.24 |